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7월, 부산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가 온다!

by 갈매기인포스터 (Seagull Infoster) 2025. 6. 6.

2025년 6월 5일 | 부산 스마트도시 미래 전략 분석

1. 2025년 부산, 다시 엑스포의 중심이 되다

2030 세계박람회 유치에 아쉽게 실패했던 부산. 그러나 스마트시티의 중심도시로서의 도약은 계속됩니다. 오는 2025년 7월 15일, 부산에서는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가 개최되어 세계 각국의 스마트 기술과 도시 혁신 사례가 공유될 예정입니다.

2.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란?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주관하는 이 박람회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회입니다. 2024년 기준 77개국 38,000여 명이 참가했으며, 올해는 참가 규모와 기술적 깊이가 더욱 확대될 예정입니다.

3. 개최지 부산의 이유: 에코델타시티와 명지 국제신도시

부산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스마트도시 선도 지역입니다. 특히 에코델타시티는 정부가 지정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친환경·첨단 기술이 집약된 도시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명지 국제신도시, 명지 오션시티 등과 연계되어 부산의 미래 도시 비전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4. 부산이 선보일 주요 스마트시티 기술

엑스포에서는 다양한 첨단 기술이 공개됩니다:

  • AI 기반 지능형 CCTV 관제 시스템: 서울시도 도입 예정인 실시간 이상 감지 기술
  • 전자식 자가세정 CCTV: 카메라 렌즈에 오염이 생기면 자동으로 제거
  • AI 폐기물 선별 로봇: 재활용 자원을 자동 분리
  • 3차원 지하시설물 시공 기술: 도시 지하의 모든 배관을 데이터화
  • 루프탑 도시 데이터 수집 장치: 택시 지붕 위 센서로 실시간 도로 상태 수집
  • 수소버스 기술: 무공해 친환경 교통 수단

이처럼 부산은 스마트시티 기술을 실험하고 구현하는 도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5. 스마트시티 기술의 글로벌 수출 전략

이번 엑스포는 단순 전시를 넘어, 스마트 기술 수출을 위한 바이어 유치의 장이기도 합니다. 국토부와 코트라는 스마트시티 기술 30선을 선정해 온라인 수출 상담회를 함께 운영하며, 실제 글로벌 도시와의 기술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6. 부산, 관광과 기술의 융합 도시로

기술 외에도 부산은 분해치아(부산+베네치아) 같은 독특한 관광 자원을 통해 글로벌 관광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오사카 엑스포와 연계하여 조선 통신사 행렬을 선보인 것처럼, 역사적 상징성과 첨단 기술이 공존하는 도시로 부산이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7. 결론: 부산, 미래도시를 선도하다

2025년 부산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는 단지 도시 기술의 전시회가 아닙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도시 미래 전략이자,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선보이는 글로벌 플랫폼입니다. 부산은 이번 기회를 통해 단순한 항구 도시를 넘어, 기술, 환경, 문화가 융합된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 2025 부산 스마트시티 리포트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