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1

푸사리움이 뭐길래? 중국 유학생의 붉은 곰팡이 밀반입 사건, 생물 무기의 실체 2025년 5월,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공항에서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중국 국적의 박사 과정 유학생이 푸사리움(Fusarium graminearum) 샘플을 신고 없이 반입하려다 미국 국토안보부에 의해 적발된 것입니다. 이 붉은 곰팡이는 단순한 병원균이 아닙니다. 미국 국방부가 생물 무기 가능성까지 언급한 고위험성 병원체입니다.푸사리움 곰팡이란 무엇인가?푸사리움은 곡물, 특히 밀과 보리에 감염되어 곡물 썩음병, 푸사리움 시들음병 등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농업 병원균입니다. 곰팡이가 생성하는 마이코톡신(독소)은 인체에 들어올 경우 간 손상, 구토, 생식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무서운 점은 이 곰팡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잠복기가 길며 조작 및 배양이 쉬운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군사.. 2025. 6. 14.
한국을 살린 매국노의 아들, 우장춘 박사 이야기 역사는 때때로 아이러니한 인물들을 품습니다. 그중 한 사람이 바로 우장춘 박사입니다. 그는 "매국노의 아들"이라는 낙인을 평생 짊어지고 살았지만, 역설적으로 한국을 구한 영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역적의 아들로 태어난 한국 농업의 아버지우장춘 박사는 조선 말기 독립운동가 우범선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아버지가 을사오적 중 한 명으로 지목되며 '매국노의 후손'이라는 사회적 멍에를 안고 살아야 했습니다.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는 일본 국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조국인 한국에 대한 애정을 가슴 깊이 품고 있었습니다. 그는 차별과 멸시 속에서도 농업 과학자로서의 길을 선택했고, 유전자 교배, 품종 개량 등 수많은 연구 업적을 통해 세계적인 과학자의 반열에 올랐습니다. 그가 남긴 업적은 단순한 연구 성과가 아닌,.. 2025. 6. 14.
이명희, 정용진, 왜 증여가 아닌 ‘주식 매매’를 택했을까? 신세계 승계, 그 마지막 한 수의 배경과 의미신세계 승계, 사실상 마무리된 2025년 1월2025년 1월, 정용진 회장은 어머니 이명희 총괄 회장이 보유하고 있던 이마트 지분 10% 전량을 매매 방식으로 인수하며 신세계 그룹의 승계 절차에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이 거래에 투입된 금액은 약 240억 원. 많은 이들이 당연히 ‘증여’를 택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제 선택은 ‘주식 매매’였습니다.왜 ‘증여’가 아닌 ‘매매’였을까?통상 재벌가의 승계 과정에서는 고액의 증여세가 문제가 되지만, 주식 증여 시 최고세율 60%를 적용하더라도 약 1,000억 원대의 세금으로 승계를 마무리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금 240억 원을 주고 지분을 매입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신세계 측은 “기업 가치.. 2025. 6. 14.
신세계는 왜 늘 ‘카피 논란’에 휘말릴까? 혁신과 표절 사이, 벤치마킹의 경계를 묻다노브랜드의 출발, 가격 파괴에서 시작된 실험2015년, 신세계는 유통의 새로운 돌파구로 노브랜드를 선보였습니다. 브랜드 없는 브랜드를 표방하며, 가성비 중심의 PB 제품에 집중한 전략은 고물가 시대에 소비자의 큰 호응을 얻으며 론칭 첫해에만 매출 234억 원을 달성했습니다.그러나 노브랜드는 출시 초기부터 캐나다 유통 기업 '노네임(No Name)'과 유사하다는 지적을 받았고, 노란색 배경 + 단순 텍스트 조합이라는 디자인까지 겹치며 ‘카피캣’ 논란이 불거졌습니다.노브랜드 피자와 국내 카피 논란2022년 대치동에 오픈한 노브랜드 피자 1호점은 인테리어, 컬러, 유니폼까지 국내 중소 브랜드 ‘고피자’와 유사하다는 논란에 휘말립니다. 고작 색상과 운영 시스템이 겹쳤다고.. 2025. 6. 14.
신세계 vs 쿠팡, 피할 수 없는 최저가 전쟁의 전말 기저귀부터 분유까지, 유통 공룡들의 생존을 건 경쟁신세계, 온라인 유통의 늦은 출발2000년대 초 신세계는 신세계몰과 이마트몰을 운영했지만, 구조적 혁신 없이 기존 오프라인 운영 방식을 그대로 옮겨놓은 데 그쳤습니다. 결국 2009년 이마트몰 매출은 900억 원 수준에 불과했고, 온라인 유통 시장에서의 존재감은 미미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용진 부회장은 온라인 유통 강화를 선언하고, 전용 물류센터 설립과 상품군 확대를 통해 이마트몰의 매출을 2013년 약 5,900억 원까지 끌어올리며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쿠팡의 등장과 로켓배송의 혁신쿠팡은 2014년 로켓배송 서비스를 통해 유통업계의 판을 뒤흔들었습니다. 자체 물류센터와 배송 인력을 갖춘 이 시스템은 당일 배송이라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고, .. 2025. 6. 13.
“용진이 형”의 시대, 신세계는 어떻게 달라졌나? 정용진 부회장의 리더십과 신세계의 유통 혁신 전략재벌 3세에서 유통 리더로SNS에서 "용진이 형"으로 불리며 대중과 소통하는 대표적인 경영자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그의 화려한 이미지 뒤에는 오랜 시간 축적된 경영 수업과 탄탄한 실무 경험이 존재합니다.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삼성물산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는 1995년 신세계에 합류해 도쿄 사무소 근무부터 이마트 현장까지 폭넓은 경영 실무를 경험했습니다.신세계 후계자, 철저한 준비와 수업신세계의 실질적인 경영 수업은 구학서 대표를 통해 이뤄졌습니다. IMF 시기 신세계를 위기에서 구하고, 할인마트 사업을 확장한 구학서는 용진에게 유통업의 본질과 위기 대응 전략을 전수했습니다.정용진은 매주 소공동 본사와 응암동 이마트를 오가며 실무와 현.. 2025. 6. 13.